마그넷펌프 구매 시 꼭 확인해야 할 핵심 사항은?
TOP FLOW 블로그에서 완벽 정리해드립니다!
안녕하세요! 마그넷펌프의 모든 것을 다루는 TOP FLOW입니다. 펌프 선택이 처음이신가요? 혹은 기존 설비를 업그레이드하려는 고민 중이신가요? 😊 마그네틱 드라이브 펌프는 누설 없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어 정말 매력적인 선택이지만... 유체 조건이나 점도, 온도, 압력, 구조 설계까지! 생각보다 따질 게 많습니다.
1️⃣ 유체 특성부터 제대로 파악해야 해요!
펌프의 적합성은 결국 이 유체가 무엇이냐에 따라 80%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
- 재질 반응성: PTFE/PP → 산·알칼리계 / SiC → 연마성 유체
- 부식 기준: 20MPY 이하, 즉 연간 0.5mm 이하가 안정권입니다.
항목 | 허용 기준 |
---|---|
점도 | 100cPs 초과 시 기어펌프 등 전환 고려 |
비중 | 1.3 초과 시 NPSHa 120% 이상 확보 |
고형물 | 0.5mm 이상이면 전처리 필터 필수 |

2️⃣ 마그넷펌프의 점도 한계, 알고 계셨나요?
대표 모델 기준으로는 아래와 같은 한계가 존재합니다.
- IWAKI MD-F / MX / CQL 시리즈: 약 30cPs 이하
그런데 고점도 액상을 이송해야 할 땐 어떻게 하냐구요? 🙄 방법은 있습니다.
🔧 설계 개조 전략
- 임펠러 간극 확대: 0.5mm → 1.2mm → 유동저항 40%↓
- SmCo 자석 적용: 토크 1.5배 증가
- 베어링 냉각재킷 추가: 온도 80℃ → 45℃ 제어

⚙️ 운전 조건 조정
- 저속 회전: 1,450 → 800 RPM → 전단력 55% 감소
- 예열로 점도 절감: 예]1,000 → 500cPs
- 흡입 측 압력 증가: NPSHa 2.5m → 5.0m
- DN150 배관 적용: 유속 1.2m/s 이하 유지
⚠ 주의: 이 구조에선 표준 대비 효율 60% 감소 예상, SiC 베어링은 800시간 주기 교체 필요합니다.
3️⃣ 마그넷펌프 설계, 여기도 함정 있어요!
자석 재질 선택
- SmCo (사마륨 코발트): 250℃ 고온 대응 OK
- NdFeB (네오디뮴): 80℃ 이상에서 자력 약화 주의
기계 구조 부품
- SiC 베어링: 마모율 0.01mm/1,000hr
- 케이싱: 열팽창 계수 1.2×10⁻⁶/℃ 이하 복합재
- 샤프트: 알루미나 세라믹 사용 시 파단강도 400MPa 이상

4️⃣ 설치와 운전 조건도 무시하면 안돼요!
설치 환경
- 흡입관 직경: 50m³/h 기준 DN80 이상
- 배관 경사: 5도 이상 유지
- 모터 정렬 오차: 0.05mm 이하
운전 조건 조정
- VFD 장착 시 효율 최대 15% 향상
- RPM 범위: 1,450~2,900rpm
- 허용 토크: 정격의 130% 이상 고려
5️⃣ 안전성과 경제성까지 따져봐야죠!
안전장치 필수 항목
- 공회전 방지 센서 → 유량 감지형 추천
- 역회전 차단장치 → 전자 감지형 사용
- 압력 방출 밸브 → 설계압력의 1.25배 설정
경제성 체크리스트
비용 요소 | 기준 |
---|---|
초기 투자비 | 효율 85% 이상 모델 우선 |
유지보수 비용 | 베어링 교체 주기 2,000시간 |
에너지 소모 | BEP ±10% 내 운전 권장 |
✅ 결론 및 추천
마그네틱 펌프는 확실히 누설 위험이 없고 유지보수가 적은 매력적인 솔루션이에요. 하지만 고점도, 고비중 유체에는 제한이 있습니다. ASME B73.3 인증은 필수이고요, 내마모성(MDD-W1) 여부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.
초고점도 유체를 다뤄야 한다면, 마그넷펌프도 '특수 사양'이어야 하며, 기어펌프 전환도 진지하게 고려해봐야 해요.
TOP FLOW는 항상 현장 중심의 정보만 전달드릴게요! 궁금한 점이나 견적 문의는 언제든 sales@topflow.co.kr으로 주세요~ 감사합니다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