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펌프 고를 때 이거 모르면 망합니다😵” - 산업용 펌프 선정 팁 모음
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펌프 선택 기준 총정리!
안녕하세요, TOP FLOW입니다. 오늘은 산업 현장에서 매~우 자주 묻는 질문! “펌프 뭐 써야 하죠?”에 대해 답해드리려구요. 그냥 아무거나 고르면? 고장 나거나 유량 안 맞아서 사고 납니다...

1. 유체 특성을 먼저 파악하세요
- 유체 종류: 물, 오일, 산, 알칼리, 슬러리, 점성 액체 등
- 온도/점도: 고온·저온, 점성이 높은 유체는 특수 재질 필요해요!
- 부식성/위생성: 식품·의약용은 위생 인증 재질 필수입니당~
2. 유량과 전양정 계산은 기본!
- 유량(Flow Rate): LPM, m³/h로 시간당 필요한 이송량 계산
- 전양정(TDH): 높이 + 마찰손실 + 기타 저항 모두 합쳐서 계산!
- 최대 소비 패턴: 한꺼번에 이송액상이 몰리는 경우, 여유 있는 펌프 선택 필요!
3. 설치 환경 조건도 무시 못 해요
- 위치: 물보다 위면 자흡(Self-Priming) 되는지 꼭 확인!
- 흡입/토출 거리: 길면 손실 크니까 체크!
- 전기 사양: 단상인지 삼상인지, 모터 사양 확인 꼭!
4. 성능곡선? 어려워도 꼭 보세요!
펌프 성능곡선은 유량-양정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인데요, 사용 조건에 딱 맞는 운전점이 최고 효율점 근처에 있어야 펌프가 오래 갑니다~
- NPSH도 꼭 확인! 케비테이션 나면 임펠러 날아갑니다...😢
- 작아도 문제, 커도 문제! 정~확한 크기 선택이 중요!
5. 재질 선택, 아무거나 하지 마세요!
- 부식성 유체: 스테인리스, 테프론(PFA, PTFE) 등
- 고온 유체: 금속 계열이 유리합니다~
- 정비성: 부품 구하기 쉬운 모델인지도 꼭 확인해보세요!
6. 이것만은 꼭 체크리스트📝
- ✔ 유체 성분, 점도, 온도, 입자 유무
- ✔ 유량 및 양정 계산
- ✔ 설치 위치, 배관 조건
- ✔ 연속 운전 vs 간헐 운전?
- ✔ 성능곡선에서 운전점 확인
- ✔ 캐비테이션 방지 (NPSHr ≥ NPSHa)
- ✔ 재질 선정 및 유지보수 편의성
- ✔ 압력 여유 10~15% 확보!
마무리 한마디 💬
펌프는 그냥 크기 맞는 거 사면 된다구요? 아닙니다!! 😤
유체 + 설치 환경 + 용도를 종합해서 맞는 펌프를 고르셔야 진짜 프로 입니다. 애매할 땐 전문가랑 상의하는 게 최고구요~
혹시 모델 추천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 sales@topflow.co.kr 으로 문의해 주세요!